ISBN 978-89-527-5039-6
⚠️ 버릴 게 없이 알찬 입문서라서 전부 요약하지 못했다.
- 성부에 따른 역할의 구분
- 이탈리아 민중극 '코메디아 델라르테'에서 기원
- 여성:
- 소프라노: 주인공
- 레지에로: 가볍고 경쾌 (<람메르무어의 루치아>의 루치아, <리골레토>의 질다, <피가로의 결혼>의 수잔나 등). 기교성이 더해질 경우 '콜로라투라' (<마술피리>의 밤의 여왕) e.g. 조수미, 조앤 서덜랜드
- 리리코: 자연스러운 선율 (<라 보엠>의 미미, <피가로의 결혼>의 백작부인) e.g. 르네 플레밍
- 드라마티코: 무겁고 강렬 (<아이다>의 아이다, <일 트로바토레>의 레오노라, <노르마>의 노르마) e.g. 비르기트 닐손
- 스핀토: 리리코와 드라마티코 중간, 중량감은 없지만 날카로움 (<나비부인>)
- 마리아 칼라스
- 메조소프라노: 연적, 어머니 등 (esp. 오페라 부파: 주인공) (과거 카스트라토 배역을 맡기도 함)
- 알토: 거의 x
- 남성:
- 테너: 소프라노를 사랑하는 역
- 레지에로 (<람메르무어의 루치아>의 에드가르도, <리골레토>의 만토바 공작, <청교도>의 아르투로) e.g. 루치아노 파바로티, 후앙 디에고 플로레스
- 리리코 (<라 보엠>의 로돌포, <라 트라비아타>의 알프레도) e.g. 호세 카레라스, 로베르토 알라냐
- 드라마티코 (<일 트로바토레>의 만리코, <아이다>의 라다메스, <노르마>의 플로레스탄) e.g. 마리오 델 모나코, 호세 쿠라
- 헬덴테노르: 바그너 작품 속 드라마티코 테너를 위한 역 (영웅적인 음색과 스타일)
- 스핀토: 베르디 이후의 베리스모 오페라에 적격
- 플라시도 도밍고
- 바리톤: 주인공의 사랑을 방해 (esp. 베르디: 아버지)
- 베이스: 아버지, 노인, 왕, 수도사 등 (esp. 오페라 부파: 바소 부포)
- 소프라노-테너 페어가 로시니 시기에 확립
- 그랑/그랜드 오페라
- 파리를 중심으로 발달, 5막으로 구성, 프랑스어, 등장인물 다수, 각 사람의 입장 조명, 대부분 역사적 사건 기반, 희극 안 됨
- 1막: 배경설명
- 2막: 발레
- 3막: 스펙터클 신 (개선행진곡, 대관식, 부활절 행렬 등)
- 4막: 아리아
- 5막: 결론
- <위그너 교도>, <유대 여인>, <트로이 사람들> (esp. 베를리오즈)
- 오페라 코미크
- 그랑 오페라의 화려함에 대항하여 발생, 레치타티보가 아닌 대사 존재
- 비가극 '오페라 리리크'와 희가극 '오페라 부프(→'오페레타'로 발전)
- 오페레타에서는 배우가 춤을 춘다는 점에서 뮤지컬과 유사하지만, 성악적인 발성법을 사용
- <카르멘>
- 벨 칸토 오페라
- 콜로라투라에 집중, 로시니, 도니체티, 벨리니, 베르디
- 베리스모 오페라
- 푸치니 (관현악의 비중을 높임) → 다음 세대에 베리스모 오페라 등장
- <카벨라리아 루스티카나>, <팔리아치>, <외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