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mo

Mirowski(1989) p.399-400

경제학의 주된 테제를 반복하자면: 가치 이론은 다음 3가지 질문에 답하는 경제학 이론들에 필수 불가결한 토대다.

  1. 시장의 어떤 점이 상품들을 통약 가능하게 만드는가?
  2. 어떤 보존 법칙이 1번에 대한 답변을 정식화하여 양적 인과 분석을 가능케 하는가?
  3. 2번에서 식별된 보존 법칙들이 어떻게 물체(body)/운동(motion)/가치(value)에 대한 비유를 정당화하기 위해 그 비유와 연결되어 있는가 (모든 보존 법칙들이 근본적으로 정당화 불가능하다는 점을 전제할 때)?

고전 정치경제학, 신리카도주의, 맑스경제학은 우리가 가치 실체론(substance theory of value)이라고 부른 것에 기반하는데, 이는 이전의 운동에 대한 실체적 개념에 기반해 있다. 가치 실체론의 주된 특징들은 다음과 같은 규정들이다: 교환 내 가치의 보존 (즉, 등가물의 거래); 생산적/비생산적 구분; 시간을 거쳐 보존되는, 상품 가치의 외재성; 동어반복에 의한, 가치에 대한 몇몇 자연주의적 정당화 (예: “You are what you eat” (중농주의), “Things are valuable because people made them” (맑스))

정반대로, 신고전주의적 이론은 우리가 가치의 장이론이라고 부른 것에 근거를 두고 있는데, 이는 에너지 개념의 부상 이후 물리학 내에서 형성된 장의 정식화를 모방한다. 장이론의 주된 특징들은 다음과 같은 규정들이다: the virtual conservation of preferences plus endowment, either jointly or severally; the law of one price and a market-clearing conception of equilibrium; the specification of a conservative vector field suffused throughout an independently given commodity space; the locus of value in the field and not in the commodities; some justification of value by means of the tautology that: “Things are valuable because people think they are.”

강의

다음 주 예고:

Profess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