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ial studies of science
engaging in social sciences and technology
- 저자가 생각하지 못했던 부분 짚기
- 저자가 읽고 반론할 수 있음을 염두에 두고 비판하기
- 가장 잘 쓴 책은 반론할 생각이 들지 않게 쓴 책 (얼마나 설득력 있게 주장하는가)
- 너무 많은 것을 알아야 서평을 써야 한다고 생각하지 마세요 (책에서 출발하세요)
- 잘 쓴 서평과 못 쓴 서평은 있어도 ‘이게 무슨 서평이냐 독후감이지’ 하는 건 없어요 (ㅋㅋㅋㅋ
8편의 서평 구조 분석
#1 왜 하필 물고기인가? — 룰루 밀러,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 읽게 된 경위 & 서평을 쓰게 된 계기 (1)
- ‘반전’에 대한 암시 → 이에 대한 필자의 해석
- 내용 요약 (2-8)
- 인상 비평 → 장르 & 주제 제시
- 각 장르로서의 적합성 검토
- 책 전체를 어떻게 장르화할 수 있을지 질문
- ‘반전’의 의의
- 비평 (9-11)
- ‘반전’에서 인용된 책(캐롤 계숙 윤, <자연에 이름 붙이기>) 소개
- 인용의 맥락 설명
- 실제 윤의 입장은 밀러와 대치됨
- 밀러가 윤을 인용함으로써 ‘반전’을 만들어 낸 이유
- 에필로그의 제목 및 내용을 토대로 밀러의 의도 파악
- 밀러가 전제하는 논리 파악
- 제언 (12-13)
- 출판 전후 맥락 설명
- 책의 요지를 요약하며 새로운 과학에 대한 질문으로 마무리
#2 이정, 『장인과 닥나무가 함께 만든 역사, 조선의 과학기술사』
- 책의 주제(종이)에 관한 필자의 개인담
- 책의 짜임새
- 예상 독자층
- 글의 구조(인용되는 사료의 수, 독해 방식 등)
- 책의 의의
- 글이 탄생한 맥락 제시
- 과학기술학계 내 맥락 (라투르)
- 역사연구로서의 난점과 의의
- 훌륭한 역사연구의 특징 제시
- 서술 방식에 대한 평가
- 현대 사회에 시사하는 바
- 맥락 설명 및 비판
- 인용구에 등장하는 ‘물의’
- 앞서 언급한 라투르로 복귀하여 <녹색 계급의 출현> 설명
- 대량생산에 대한 이정의 주장 반박
- 생각해 볼 만한 질문들 제시
#3 조각조각 꿰매진 ‘그날’의 슬픈 진실 — 진실의 힘 세월호 기록팀, 『세월호, 다시 쓴 그날의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