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 1 과학지식의 본질을 찾아서
1장 과학이란 무엇인가 21
- 구획문제(demarcation problem): 과학과 비과학을 경계 짓는 문제
- 포퍼: 반증주의(falsificationism) - 과학은 끝없는 추측과 반증의 과정
- 쿤: 패러다임 - 임시방편적 가설(ad hoc hypothesis)을 통한 정상과학(normal science)의 유지
2장 지식의 한계 54
- 데카르트: 합리주의(rationalism) - 감각보다 이성의 판단이 월등하다
- 과학은 보다 경험주의적(empirical)
- 베이컨: 귀납주의(inductivism) - 귀납적 추론 (관측 사실 → 이론)
- 관측의 이론적재성(the theory-ladenness of observation) = 이론의존성(theory-dependence)
- 4가지 원인:
- 선입관 → 지각에 영향
- 이론적 배경에 따른 해석 차이 (ex. 게슈탈트 심리학)
- 실험기구 안에 이론 내재 (ex. MRI 등)
- 이론에 맞지 않는 관측 사실 거부 (ex. 텔레파시)
3장 자연의 수량화 86
- 정밀성(precision): 옳고 그름을 떠나 되풀이한 측정결과가 일관성 있게 서로 일치한다
- 정확성(accuracy): 측정결과가 진짜로 옳게 나온다
- 현대과학은 측정을 통한 개념의 수량화에 의존
- 측정의 기준은 ‘인식과정의 반복’을 통해 창조 및 개선 가능
4장 과학혁명 119
- 쿤: 변칙사례(anomaly)의 축적 → 비정합성(incommensurability)
- 비정합성의 제1차원: 패러다임의 우수성을 판가름하는 기준 변화
- 비정합성의 제2차원: 개념과 용어의 의미 변화
- 비정합성의 제3차원: 관측 현상 자체의 변화
- 과학지식은 사회적으로 결정
- 라카토쉬(Lakatos): 쿤의 과학혁명은 군중심리에 불과, 과학혁명은 철저히 이성적이어야 함
5장 과학적 진리 150
- 쿤: ‘도구적인’ 과학의 진보
- 과학혁명을 겪으며 문제 해결 능력 향상, but 진리를 향해 나아가지는 않음
- 과학적 실재론(scientific realism): 진리 추구가 과학의 궁극적 목표
- 반실재론적 입장
- 도구주의(instrumentalism): 이론은 진실을 의도하지 않는 허구적 모델
- 실증주의(positivism): 관측 불가능한 것에 관한 명제는 관측되는 내용으로 풀어 설명할 수 없다면 무의미함
- 구성적 경험주의(constructive empiricism): 과학은 진리를 추구해야 하지만 관측 불가능한 내용에 접근할 능력은 없다 (현실적 목표 추구)
- cf. 반프라센(Bas van Fraasen) - 이론은 전부 가설이고 특히 관측 불가능한 주제를 다룬 이론들은 우리의 경험으로 증명도 반증도 할 수 없으므로 영원히 가설로 남음